본문 바로가기
해체(철거)공사/해체(철거)공사

건축물 해체공사 절차와 건축주 역할 알아보기

by 부강1 2024. 3. 29.
반응형

건축물 해체공사 절차와 건축주 역할 알아보기

 

 

 

■ 해체공사 업무순서

 

해체공사는 아래 업무순서와 같이 사전조사, 현지조사, 해체공법 선정, 구조안전성검토, 해체계획서 작성, 감리자 지정, 해체공사 수행, 완료보고서 제출 등의 순으로 진행됩니다.

 

 

 

 

■ 해체공사 주요업무

 

1) 사전준비 단계

 

-건축물 주변조사

-해체대상 건축물 조사

-유해물질 및 환경공해 조사

 

2) 건축설비의 이동,철거 및 보호 등

 

-지하 매설물 조치계획

-장비이동계획

-가시설물 설치계획

 

3) 작업의 순서, 해체공법 및 구조안전계획

 

-작업의 순서작성

-해체공법 선정

-구조안전 계획

-구조보강 계획

 

4) 안전관리대책

 

-해체작업자 안전관리계획

-인접건축물 안전관리계획

-주변통행, 보행자 안전관리 계획

 

5) 환경관리계획

 

-소음,진동 등의 관리

-해체물 처리계획

-부지정리 계획

 

 

■ 관리자(건축주)의 역할 및 의무

 

 

 

- 건축주는 공사 감리에 필요한 설계도면, 문서등을 제공해야 합니다.

- 건축주는 공사감리 계약 이행에 필요한 시공자의 문서,도면,자재 등에 대한 자료제출 및 조사를 보장해야 합

  니다.

 

- 건축주는 해체공사 감리자가 보고한 설계변경, 기타 현장 실정보고 등 방침요구 사항에 대해 감리업무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의사를 결정하여 통보해야 합니다.

 

- 건축주는 정당한 사유없이 시공자, 감리원의 업무 수행을 방해하거나 해체공사 감리자의 권한을 침해할 수 없습니다.

 

 

■ 해체신고 대상

 

 

 

 

■ 해체허가 대상

 

 

 

■ 해체허가에 필요한 서류

 

 

 

■ 해체계획서 작성

 

1) 해체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

 

 

2) 해체계획서 작성 가능자

 

 

 

※ 신고건은 철거 공사를 시행하는 철거회사에서 작성 후 기술자의 날인을 받아 허가권자에게 제출 가능하며,      허가건은 반드시 기술자가 작성 및 날인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3) 해체계획서 작성 절차

 

 

 

 

■ 석면조사 

 

1) 석면조사 대상

 

 

 

2) 석면제거 절차

 

 

 

■ 감리자 지정

 

 

 

■ 해체심의

 

1) 해체심의 대상

 

 

 

 

2) 해체심의 제출서류

 

 

 

■ 착공신고

 

 

 

■ 허가권자의 현장점검

 

 

 

■ 공사완료 신고

 

 

 

■ 멸실신고

 

 

 

 

반응형